Spring boot 프로젝트에 Flyway 도입하기 (feat. 기존 데이터가 있을 경우)
Flyway란?
Flyway는 데이터베이스의 형상 관리를 목적으로 하는 오픈소스 마이그레이션 툴이다.
Flyway를 통해 변경 사항을 추적하고, 업데이트나 롤백을 보다 쉽게 할 수 있다.
우리가 개발하며 필수적으로 사용하는 git에서 코드를 형상 관리하듯 데이터베이스도 형상 관리가 가능한 것이다!
형상 관리를 하면 데이터베이스 schema의 변경 이력이 남기 때문에 데이터베이스의 변경 작업을 안전하게 할 수 있다.
Flyway를 도입한 이유
기존 프로젝트의 환경별 데이터베이스 상황은 아래와 같다.
- local - H2 Database, ddl-auto: create
- dev - RDS(MySQL), ddl-auto: update
- prod - RDS(MySQL), ddl-auto: none (최초에는 ddl-auto:create을 통해 생성)
환경마다 ddl-auto 옵션이 다르기 때문에 엔티티 구조가 변경되었을 때 반영이 되지 않아 conflict가 발생하는 경우가 종종 있었다.
단순히 개발 단계에서는 테이블을 날리고 다시 실행하는 것도 방법이긴 하지만 ...! Best Practice는 결코 아니다.
그렇기 때문에 Flyway를 통해 테이블 변경에 유연하게 데이터베이스를 관리해보고자 한다.
Flyway 동작 원리
Flyway가 비어있는 데이터베이스와 연결되었다고 생각하자.
Flyway는 DB 버전 관리를 위해 flyway_schema_history라는 테이블을 사용한다.
처음에 flyway_schema_history 테이블을 찾고, 비어있는 데이터베이스이기 때문에 해당 테이블이 없으므로 이를 찾지 않고 대신 생성한다.
이제 우리의 DB는 flyway_schema_history라는 하나의 빈 테이블이 있는 모습이 되었다.
flyway_schema_history 테이블은 데이터베이스의 상태를 추적하는데 사용된다.
Flyway는 마이그레이션을 위해 SQL 또는 Java로 작성된 파일을 스캔한다.
스크립트 파일은 /resources/db/migration 디렉토리에 적어주면 된다.
여기서 마이그레이션이란, 일련의 변경 단위를 의미한다.
ex) 테이블이 1개 생성되고, 2개 수정되는 것이 한 묶음일 경우 이는 하나의 마이그레이션으로 본다.
마이그레이션은 버전 번호를 기준으로 정렬되어 순서대로 적용된다.
숫자가 작은 버전부터 큰 버전 순서대로 실행된다.
* 버전은 정수로 인식되므로 3.10과 3.2 중 3.2가 먼저 실행된다는 것을 주의하자.
각 마이그레이션이 적용되면, schema history 테이블에도 마이그레이션 내역이 함께 기록된다.
Flyway에는 Versioned / Undo / Repeatable Migration 3 종류가 있다.
Versioned Migrations
Flyway의 핵심 기능으로, 마이그레이션 스크립트의 최신 버전과 현재 데이터베이스의 스키마 버전을 비교하고, 차이점이 있다면 마이그레이션 스크립트를 순차적으로 실행하여 최신 스키마와 격차를 좁혀 나간다.
마이그레이션 버전이 1부터 9까지 있고, 현재 개발 환경의 데이터베이스 스키마가 5 버전이라면, 최신 버전에 대해 마이그레이션을 실행하면 6~9 버전의 마이그레이션 스크립트가 순차적으로 실행된다.
만악 개발 환경의 데이터베이스 스키마가 9 버전이라면 마이그레이션 스크립트와 차이점이 없으므로 아무 일도 발생하지 않는다.
Undo Migrations
Flyway의 유료 버전에서만 사용 가능하다.
가장 최근에 적용된 Versioned Migration을 실행 취소한다.
Repeatable Migrations
모든 마이그레이션 스크립트가 실행된 이후 실행되는 스크립트이다.
Repeatable Migrations끼리는 description 순서대로 실행된다.
한번 실행되며, 파일이 변경되어 체크섬이 변경되면 또 실행된다.
Flyway의 개념에 대해 알아보았으니 이제 프로젝트에 실제로 도입해보자.
의존성 추가
build.gradle에 아래와 같이 의존성을 추가한다.
# MySQL 8.X 버전이거나, MariaDB를 사용하는 경우
implementation 'org.flywaydb:flyway-mysql'
# 그 외 경우
implementation 'org.flywaydb:flyway-core'
JPA 설정
application.yml에서 ddl-auto 옵션을 설정해주자.
# dev
spring:
jpa:
hibernate:
ddl-auto: validate
# prod
spring:
jpa:
hibernate:
ddl-auto: none
ddl-auto 옵션을 validate로 설정하면, 데이터베이스 스키마와 JPA 엔티티 구조가 같은지 비교하고, 다를 경우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지 못하도록 한다.
나의 경우 개발 환경은 validate, 운영 환경은 none으로 설정하였다.
Flyway 활성화
spring:
flyway:
enabled: true
H2 데이터베이스와 ddl-auto를 create로 사용하는 로컬 환경에서는 flyway를 사용하지 않을 것이기 때문에 application-local.yml에서는 flyway.enabled를 false로 하였고, application-dev.yml과 application-prod.yml에서는 true로 작성해주었다.
이 다음은 기존 테이블 정보와 데이터만 있는 경우와 그렇지 않을 경우(flyway_schema_history 테이블까지 있는 경우, 모두 없는 경우)로 나뉜다.
spring:
flyway:
enabled: true
baseline-on-migrate: true
기존 테이블 정보와 데이터만 있는 경우는 위와 같이 baseline-on-migrate 옵션을 true로 한다.
baseline은 flyway의 기준을 설정해주는 명령어로, flyway_schema_history 테이블이 없는 경우 생성해주는 옵션이다.
defalut 값은 false이므로 해당 경우가 아닌 경우에는 생략해도 괜찮다.
나의 경우,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중간에 flyway를 도입하는 것이므로 해당 옵션을 true로 설정해주었다.
그 다음 V1에 해당하는 마이그레이션 스크립트를 작성해준다.
이때 빈 파일이어도 V1에 해당하는 스크립트 파일이 반드시 있어야 한다!
스크립트 파일은 /resources/db/migration 에 작성해주면 된다.
Flyway 네이밍 규칙
앞서 설명했듯 Flyway는 버전 번호를 기준으로 정렬 및 적용되므로 스크립트 파일의 이름을 규칙에 맞춰 적어주는 것이 중요하다.
간단하게 V{숫자명}__{설명}.sql 라고 생각하면 된다.
결과
flyway_schema_history 테이블이 잘 생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 Reference
https://hudi.blog/dallog-flyway/
https://wildeveloperetrain.tistory.com/210
https://documentation.red-gate.com/fd/quickstart-how-flyway-works-184127223.html